이렇게 귀여운 동물이 독도에 살았다고? – 독도 강치 이야기

독도 강치 상상화

독도 강치 이야기 (AI가 그려준 바다사자_강치는 세 종류의 바다사자 중 한 종이었다) 작가님의 요청으로 멸종 동물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다. 멸종 동물 (AI가 그려본 도도새) 최근 멸종 선언된 동물 6종, 인간에 의해 멸종한 동물 20종 등 블로그에 여러가지 포스팅들이 있었는데, 그 중 모리셔스에 살았다던 도도새가 눈에 들어왔다. 만화 원피스에서 사막에 사는 비비라는 공주가 타고다니던 타조같은 새가 … Read more

한국의 빙하시추에 대해 Chat GPT에게 물어보았다.

안녕 지피티? 한국의 빙하시추에 대해 알려줘. 한국의 빙하시추에 대한 답변은 아래와 같다. 지피티 = 초록색 내생각 = 분홍색 도입 ‘아이스코어링(=빙하시추)은 지구의 과거 기후, 대기 상태, 환경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과학적 방법이며, 한국 과학자들은 최근 몇 년 동안 이 분야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 빙하와 빙상에서 추출된 얼음 코어의 분석을 통해, 한국 과학자들은 기후 변화가 그 … Read more

코끼리가 거미줄에 걸릴 수 있을까? (심지어 5마리)

그네 타는 코끼리

코끼리와 거미줄 (아직 나의 AI그림 실력은…이정도…) 고래아가씨와 결혼한 육지 멋쟁이 코끼리 아저씨의 유아 시절 이야기 인듯하다. (포스팅 참조) 가사 동요 ‘코끼리와 거미줄’의 가사는 이렇다. “한 마리 코끼리가 거미줄에 걸렸네 신나게 그네를 탔다네 너무너무 재미가 좋아좋아 랄랄라 다른 친구 코끼리를 불렀네 (두마리, 세마리, 네마리, 다섯마리…) 너무 많은 코끼리가 올라탔네 랄랄라 그만 그만 툭 하고 끊어졌대요” (다섯마리 그려달라고!) … Read more

이산화탄소 배출을 걱정하는 그대. 언제까지 텀블러 타령 할거야? (2020, 2021 이산화탄소 배출 통계)

이산화탄소 배출 세계 8위 2020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전체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세계 8위이다. (출처: 에너지온실가스종합정보 플랫폼) 위의 통계는 나라 전체의 배출량이고, 국민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얼핏보면 ‘오 우리나라 선방했네’ 할 수 있을것 같다. 그런데, 소위 주요국가라고 할 수 있는 OECD 회원국들만 남겨보면 순위가 다음과 같이 바뀐다. (출처: 한겨레) 세계 5위 그렇다. 우리는 세계에서 … Read more

동요 ‘고래와 코끼리’ 에서 과연 고래는 윙크할 수 있을까?

고래는 윙크할 수 있을까? 가사는 이렇다. ‘화창한 봄날에 코끼리 아저씨가 가랑잎 타고서 태평양 건너갈 때에/고래 아가씨 코끼리 아저씨 보고 첫눈에 반해 스리슬쩍 윙크했대요/당신은 육지왕자님 나는 바다공주님 천생연분 결혼합시다/어머어머어머어머/예식장은 용궁예식장 주례는 문어아저씨(박사) 피아노는 오징어 예물은 조개껍데기’ (변규만 작사곡) 고래는 어떤 동물? 포유강 우제목 경하마형아목 고래하목 88여종이 존재한다. 고래는 시력이 좋지 않고, 육식동물임에도 양안시가 아니다(눈을 거의 안씀. … Read more

동요 ‘꼬마 눈사람’에 숨겨진 과학

동요 ‘꼬마 눈사람’에는 엄청난 과학이 숨어있다. 가사 우선 가사를 살펴보면 이렇다. 1. 한겨울에 밀짚모자 꼬마 눈사람 눈썹이 우습구나 코도 삐뚤고 거울을 보여줄까 꼬마 눈사람 2. 하루종일 우두커니 꼬마 눈사람 무엇을 생각하고 혼자 섰느냐 집으로 들어갈까 꼬마 눈사람 (AI에게 밀짚모자를 쓴 꼬마 눈사람을 그려달라고 하니….이렇게) 1절 가사에서 눈에 띄는 가사들은 -밀짚모자 써야함- -눈썹이 우스워야함- -코가 삐뚤게- … Read more

내가 찾은 논문 (Journal)의 Impact Factor 확인 방법 (2가지)

‘너는 어디서 그런 이상한(허접한) 논문을 가져왔어?’ 학위를 시작하면서 한번쯤은 들어봤을 말입니다. 연구를 진행하려면 기존에 어떤 선행연구들이 있었는지 알아보는게 필수적인데, 구글스칼라로 논문을 검색해보면 수많은 논문중에 어떤 논문을 참고해야 할까 고민이 될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내가 찾은 논문이 어느 정도의 평가를 받고 있는지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먼저 남들이 인정해주는 연구논문 작성을 위해서는 SCI (Science Citation Index) 가 뭔지 알아야 … Read more

빙하코어 시추의 역사

빙하시추는 과학적 연구를 위해 빙상에서 약 10 cm 지름을 갖는 원통형의 얼음 샘플을 추출하는 방법이에요. 빙하시추의 역사는 20세기 초로 거슬러 올라가요. 1940년대와 1950년대에 그린란드와 남극에서 최초의 빙하 코어가 시추되었죠. 이 초기의 빙하코어는 길이가 불과 몇 미터에 불과했지만, 그것들은 지구의 과거 기후와 대기 구성을 처음으로 볼 수 있게 해주었어요. 빙하코어 연구의 선구자 중 한 명은 덴마크의 … Read more

얼음이 녹으면 부피가 감소하는데 왜 빙하가 녹으면 해수면이 상승한다고 할까?

해수면 변화는 기후 변화의 가장 중요하고 눈에 보이는 영향 중 하나입니다. 해수면 변화의 결과는 전 세계 해안 지역사회, 경제 및 생태계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칩니다. 지구 해수면의 상승은 빙하와 빙상의 녹는 것, 해수의 열팽창, 지하 대수층의 물 방출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해수면 변화의 주요 원인은 그린란드와 남극 대륙의 빙하와 빙상이 녹는 것입니다. 이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