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세

홍해를 가르랬더니

모세는 이스라엘 민족의 위대한 지도자이다.   모세는 하나님과 독대한 유일한 인간이고,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 여러 종교에서 위대한 예언자로 칭함받는다. 이스라엘 민족이 이집트의 노예생활을 하던 때 40세까지 이집트 왕실에서 왕자로 자랐으며, 자신의 민족인 히브리인 노예를 때리던 이집트인을 죽인 뒤 미디안으로 도망쳐 40년의 세월을 보낸다. 그리고 하나님의 명을 받고 다시 이집트로 돌아가 이스라엘 민족을 노예에서 해방시킨다. … Read more

우리 몸과 지구의 공통점

지구와 인간

우리 몸과 지구의 공통점 우리 몸과 지구의 공통점이 하나 있다. 바로 물의 비율이 70%라는 점이다. 하지만 이 말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지구과학을 조금이라도 공부한 사람이라면 지구에서 물의 구성비율이 70%가 아니라 지구 표면의 70%가 물, 즉 바다로 덮여 있다는 사실을 알 것이다. 지구의 물은 대부분 바닷물이다. 바닷물은 우리가 직접적으로 이용할 수는 없고, 우리가 직접적으로 이용할 … Read more

이상 한파

이상 기온

이상 한파 지구온난화가 한창 진행중인데, 겨울에 갑자기 한파가 찾아옴. 기존의 해석 기존에는 이걸 극소용돌이(Polar vortex)와 제트기류(강한 편서풍)으로 설명하곤 했다. 겨울에 극소용돌이가 강한 편서풍에 막혀 북극 주변에만 머무는데, 지구온난화로 해빙이 감소하고 제트기류가 약화되면서 극소용돌이가 경로를 이탈해 남하하면서 갑자기 추워지는 것으로 설명한 것이다. 기후는 일반적으로 기후와 연관된 지시자(proxy)를 분석하고, 기후모델을 만들어서 잘 맞는지 확인하고, 미래를 예측해보는 방법으로 … Read more

젊은지구라는 말을 들어봤나요?

우주의 시작

젊은지구 젊은지구라는 말을 들어봤나요? 젊은지구의 반대말인 오랜지구는 현대 과학계의 정설로서, 우주의 나이는 138억년, 지구는 약 45억년 전에 생겨났고, 지구상의 생명체는 약 38억년 전에 출현했다는 이론이다. 젊은지구는 성경을 기반으로 추측한 지구의 나이가 (나아가 우주의 나이가) 6천년 전 ~ 1만년 전이라는 것이다. [30가지 테마로 본 창조과학]이라는 책에서 소개하는 젊은 지구에 대한 증거는 아래와 같다. 1. 현재 연대측정에서 … Read more

앞으로~ 앞으로~ 아프로~ 아폴로~!!!

달나라 토끼

가사 앞으로 앞으로 앞으로 앞으로 지구는 둥그니까 자꾸 걸어 나가면 온 세상 어린이를 다 만나고 오겠네 온 세상 어린이가 하하하하 웃으면 그 소리 들리겠네 달나라까지 앞으로 앞으로 앞으로 앞으로 1969년 박정희 대통령의 미국 순방 당시 박정희 대통령은 동요를 부르는 이벤트를 계획한다. 당대 최고의 작사가였던 윤석중님은 가사를 고민하다가 아폴로 11호를 떠올리고는 아폴로와 발음이 비슷한 ‘앞으로’를 떠올리고는 … Read more

바람 불어도 괜찮아요~ 연구비 깎이면 안 괜찮아요~

바람 불어도 괜찮아요

괜찮아요 바람 불어도 괜찮아요 괜찮아요 괜찮아요 쌩쌩 불어도 괜찮아요 난난난 나는 괜찮아요 털오버 때문도 아니죠 털장갑 때문도 아니죠 씩씩하니까 괜찮아요 난난난 나는 괜찮아요 호호 추워도 괜찮아요 괜찮아요 괜찮아요 꽁꽁 얼어도 괜찮아요 난난난 나는 괜찮아요 털모자 때문도 아니죠 털구두 때문도 아니죠 용감하니까 괜찮아요 난난난 나는 괜찮아요 가사 이 곡을 작사곡 하신 분은 김성균 교수님으로 동요와 클래식 … Read more

바다가 초록빛으로 변하는 미래를 예측한 동요 ‘초록바다’

green_ocean

초록바다 “초록빛 바닷물에 두손을 담그면 초록빛 바닷물에 두손을 담그면 파란 하늘빛 물이 들지요 어여쁜 초록빛 손이 되지요 초록빛 여울물에(초록빛) 두발을 담그면(담그면) 물결이 살랑 어루만져요 물결이 살랑 어루만져요” 가사 초록바다는 가사가 아름다운 동요로 사랑을 많이 받았다. 바다가 초록빛이 되는건 보통 녹조때나 볼 수 있는데, 녹조는 8월을 전후로 여름에나 발생한다. 그리고 녹조는 바다에도 생기긴 하지만 보통 강이나 호수에 … Read more

Atmosphere (대기) – Troposphere (대류권)

대기 (Atmosphere) 대기 관련한 논문을 보다 보면 압력으로 연구 결과를 표현하고는 하는데, 하도 헷갈려서 한번 정리를 해본다. 단위 우선 밀리바(mb)와 헥토파스칼(hPa)는 같은 단위이다. 1000 mb = 1000 hPa 지표면의 압력은 대략적으로 1013.25 hPa 이다. 지면으로부터의 높이 별로 압력을 구분해보면, 2 km = 800 hPa 5 km = 500 hPa – 대류권 중간 10 km = … Read more

빙하, 빙상, 빙붕, 빙산, 해빙 구분

남극 빙하

다 같은 얼음이 아니다. 1. 빙하 (Glacier) 빙하 (Glacier): 눈이 압축되어 여러 년 동안 쌓인 대규모의 단단한 얼음 덩어리를 가리킵니다. 보통 산악 지역이나 극지방에서 발견되며, 빙하의 무게로 인해 서서히 움직입니다. 2. 빙상 (Ice sheet) 빙상 (Ice sheet): 육지에서 쌓여 만들어진 얼음덩어리 중에서 주변 땅을 50,000 km2 이상 덮은 빙하를 말합니다. 남극, 그린란드, 아이슬란드 빙상이 유명합니다. … Read more

선생님~ 빙하 녹으면 진짜로 고대 바이러스 나와요?

고대 바이러스

빙하와 고대 바이러스 빙하와 관련해서 강연을 가거나 학생들과 이야기할 기회가 생길 때, 심심치 않게 나오는 질문이 있다. 바로 빙하가 녹으면 그 밑에 잠들어있는 고대 바이러스가 나와서 인간에게 해를 끼치지 않을까라는 것이다. 우선, 그린란드와 남극의 빙하가 녹아서 땅이 드러나려면 적어도 몇 백년은 걸릴것 같고, 우리가 걱정을 해야하는 것은 고위도에 위치한 영구 동토층이 아닐까 싶다. 영구동토층 영구 … Read more